달력

1

« 2025/1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맞춤법'에 해당되는 글 2

  1. 2007.11.08 읍니다 vs 습니다 14
  2. 2006.11.02 최대값 vs 최댓값 4
2007. 11. 8. 10:58

읍니다 vs 습니다 Other interests2007. 11. 8. 10:58

이명박씨의 편지 - 모기불 통신

88년 한글 맞춤법 개정안의 가장 큰 변화라면 "-읍니다/-습니다"로 쓰던 종결 어미를 "-습니다"로 통일한 것을 들 수 있습니다. 이 변화에 대해 "-읍니다"를 소리나는 대로 쓰는 "-습니다"로 바꾼 것으로 아는 사람들이 꽤 있던데, 이건 소리나는 대로 쓰는 게 아니라, 두 가지 다른 형태의 어미를 하나로 통일한 것뿐입니다. 개정 전에는, 쌍시옷 받침 다음에는 "-읍니다", 그외에는 "-습니다"로 썼습니다. 부작용이랄까, 이걸 오해하는 바람에 "있음, 없음"을 "있슴, 없슴"으로 잘못 쓰는 사람도 많던데, 이건 "-습니다"와 아무 관련이 없습니다.

최근에 맞춤법 실력 때문에 비웃음의 대상이 되었던 이명박 후보가, "-습니다"를 "-읍니다"로 써서 또 한번 놀림거리가 되고 있습니다. "-겠습니다"를 "-겠읍니다"로 쓰는 거야 예전 맞춤법에 익숙해서 그렇다고 하더라도 "적습니다"를 "적읍니다"로 쓰는 건 명백한 잘못이라고 할 수밖에 없겠습니다. "적읍니다"는 [저금니다]로 읽히는 이상한 단어니까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런 사진은 모기불 통신에서 얻_읍_니다.


그렇지만 차기 대통령에 당선될 것이 유력한 이명박 후보께서 "-읍니다"를 고집하고 계시니 조만간 "-습니다"는 폐기되고 "-읍니다"로 바뀔 가능성이 없지 않_읍_니다. 더욱이 "딴나라 당", "차떼기" 같은 단어는 신조어가 아니지만 "놈현스럽다"는 신조어라는 국립국어원의 철학에 비추어 보면 "-읍니다"로 안 바꿀 리가 없_읍_니다. 내기를 한다면, "바꾸느냐 안 바꾸느냐"가 아니라, 대통령 선거가 끝나기 전에 알아서 바꾸느냐, 선거가 끝나고 이명박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바꾸느냐로 내기를 하는 게 낫_읍_니다.

이승만 대통령이 소리나는 대로 쓰자는 한글 맞춤법 간소화 파동을 일으켰을 때, 외솔 최현배 선생을 비롯한 많은 국어학자들이 감히 대통령의 뜻에 반대하여 무산시킨 역사가 있지만, 이번에는 "-읍니다"를 맞다고 할 것 같_읍_니다. 대운하로 한반도의 지형을 바꾸려는 위대한 분이니, 이 분의 사상과 주장을 따르는 쪽이 언제나 옳_읍_니다. 사실 수학자들은 수학용어인 "최대값, 최소값" 같은 것을 "최댓값, 최솟값"으로 바꾸도록 강요하는 국립국어원의 지침에 불만이 많_읍_니다. 하지만, 이제는 지침에 반대하면 국가보안법에 걸려 죽_읍_니다.

보나마나 이명박 후보의 맞춤법 문제는 맞춤법 자체를 바꾸는 쪽으로 결론날 것으로 믿_읍_니다. 그러니, 모두들 "-읍니다"를 미리미리 연습하시는 게 좋_읍_니다. 무심코 방명록에 "-습니다" 같은 것을 썼다가는 콩밥 먹_읍_니다.

맞춤법 따위의 별로 중요하지도 않은 일에 대한 글을 읽어 주셔서 고맙_읍_니다.


반응형

'Other interes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송 출연 2  (0) 2007.11.17
방송 출연  (10) 2007.11.12
손재범 선생님의 광팬  (5) 2007.10.18
썩어빠진 신동아  (9) 2007.10.16
ecotonoha  (5) 2007.10.01
:
Posted by puzzlist
2006. 11. 2. 10:40

최대값 vs 최댓값 Math2006. 11. 2. 10:40

한국어의 표준 표기를 규정한 맞춤법은 1933년 조선어학회에서 "맞춤법 통일안"을 만든 후, 1988년 문교부에서 고시한 수정안을 거쳐 지금에 이르고 있다.

1988년 수정안에서 큰 변화 몇 가지는, "-읍니다"를 "-습니다"로 통일한 것과 사이시옷에 대한 규정이라 하겠다. 참고로 "-읍-"을 "-습-"으로 바꾼 것 때문에 명사형 종결 어미 "-음"마저 "-슴"으로 바뀐 줄 아는 사람이 많은데, "-읍-"과 "-음"은 용법은 물론 발음 또한 전혀 다르므로 "있슴"이니 "없슴"이니 하는 표기는 모두 잘못된 것이다.

88년 수정안에서 가장 말도 많고 탈도 많은 것이 사이시옷이다. 현 수정안은 고유어끼리의 합성어나 한자어와 고유어의 합성어인 경우에만 사이시옷을 쓰고 한자어 사이에는 쓰지 않도록 되어 있다. 다음 딱 여섯 개의 예외만 빼고: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

그래서 약수가 두 개뿐인 자연수를 뜻하는 素數(prime number)는 "솟수"에서 "소수"로 바뀌었고, 그 통에 0.1과 같은 수를 뜻하는 小數와 무진장 헷갈리는 문제가 생기기도 했다.

아무튼 이러한 규정에 따르면, 고유값, 극대값, 극소값, 근사값, 기대값, 꼭지점, 대표값, 절대값, 최대값, 최소값 등등을 고윳값, 극댓값, 극솟값, 근삿값, 기댓값, 꼭짓점, 대푯값, 절댓값, 최댓값, 최솟값으로 표기해야 한다.

아무리 봐도 어색하기 짝이 없는 표기가 아닐 수 없다. 게다가 한자어냐 아니냐에 따라 표기가 엇갈리는 경우까지 있으니 더 혼란스럽다.
극대값(X)/극댓값(O) <-- 한자어+고유어
극대점(O)/극댓점(X) <-- 한자어+한자어
꼭지점(X)/꼭짓점(O) <-- 고유어+한자어
소수점(O)/소숫점(X) <-- 한자어+한자어
사이시옷에 관한 합리적인 규정이라면 역시 모든 사이시옷은 쓰지 않는 걸로 하고 몇 가지 굳어버린 표기만 예외로 인정하는 것 아닐까? 북한에서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 것처럼.

어차피 표기라는 것은 발음을 완벽하게 반영할 수는 없는 법이므로, 표기 대신 발음에 대해 규정하는 것으로 충분할 것이다. "-값"은 [깝]으로 소리낸다고 하는 식으로. 실제로 한자어인 高價, 時價에서 보듯 표기는 "고가", "시가"면서 발음은 [고까], [시까]로 하는 경우도 많으니까 말이다.

그런데도 이번에 이런 복잡한 규정을 일괄적으로 수학 용어에 적용한다고 해서 말이 많다. 지금까지 수학교과서에는 사이시옷 없는 표기를 써 왔는데, 이걸 모두 바꾸라고 하니 수학하는 사람들이 어이없어 할 수밖에. 그래서 지난 주말에 있었던 대한수학회 창립 60주년 기념 학회 및 정기발표회 때 이 건에 대해 반대하는 서명을 받기도 하였다. 홍보가 많이 안 된 탓에 참여율이 그다지 높은 것 같지는 않았다.

원래 어문 정책이라는 게 지극히 보수적이기 마련이어서 --- 헌법 위에 맞춤법이란 우스갯소리가 괜히 있겠나 --- 아마 우리나라 수학자들이 몽땅 서명한다고 해도 국립국어연구원은 눈 하나 깜짝 안 할 것 같은데, 어떻게 될는지....
반응형

'Ma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부등식  (6) 2006.11.15
수학과 나오면 수학 도사 되나여?  (4) 2006.11.12
대한수학회 로고  (4) 2006.10.30
적분  (1) 2006.10.26
송**은 천재인가?  (8) 2006.10.24
:
Posted by puzz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