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nkres는 어떻게 읽어야 할까? Math2012. 2. 10. 00:06
뭔가 철자가 이상하다 보니, 글자 그대로 "문크레스"로 읽는 사람도 있고, 정체불명인 "뭉크"로 읽는 사람도 있었다. 이 이름을 읽기가 쉽지 않은 것은 외국 사람들도 마찬가지인지, 웹사이트를 뒤져 보면, "Munkres는 정말 다양한 방법으로 읽힌다. 아마 Munkres 자신도 자기 이름을 어떻게 읽는지 모를 거다"라는 글도 볼 수 있다.
자, 그렇다면 Topology의 저자인 James R. Mukres 선생의 이름은 어떻게 읽어야 할까?
정답은 "멍커스". 영국식 철자인 centre를 "센터"로 읽는 걸 생각하면 되겠다.
'Ma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Num game (12) | 2012.02.28 |
---|---|
초현실수와 Num 게임 (11) | 2012.02.25 |
Munkres는 어떻게 읽어야 할까? (7) | 2012.02.10 |
교과서 머리말 (2) | 2012.02.05 |
Fraleigh는 어떻게 읽어야 할까? (12) | 2011.12.03 |
제1회 수학 문화 축전 (2) | 2011.11.11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지금까지 계속 '멍크레스'인 줄 알았습니다. 위상수학을 다시 공부할 가능성은 매우 낮지만 집에 있는 빨간 위상수학 책을 볼 때마다 '멍커스'를 떠올려야겠습니다.
<영재들의 수학퍼즐> 구판 보유자가 개정판을 사면 뭔가 혜택 없습니까?
깨끗한 새 책을 샀다는 만족감, 저자를 기쁘게 했다는 행복감 등등의 혜택이...
제가 중학교 때 본 영어사전에는 모음+자음+le(또는 re)로 끝나는 단어는 그 모음에 강세가 있을 때 그 모음의 글자이름대로 읽는다고 써 있더군요. 예로 나온 것이 table, centre, metre, acre였습니다.^^ =3=3=3
아마 Munkres를 읽는 방법이 다양하다는 데는 그런 것도 있겠죠.
"멍커스"로 읽는다는 건 Munkres 교수에게 수업을 들은 사람이 한 말이니까 아마 맞을 겁니다.
centre나 uncle 같은 단어는 모음+자음+자음+re(또는 re)라서 해당사항 없나 보네요.
헐. 멍크레스로 계속 알고 있었는데, 지금이라도 오류를 알아서 다행입니다.
오오 그렇군요! 짱이십니다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