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

« 2025/1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2008. 11. 12. 21:57

일본 센다이 Math2008. 11. 12. 21:57

이곳은 일본 센다이(仙台) 토호쿠(東北) 대학 카타히라(片平) 캠퍼스 근처의 Ark Hotel Sendai.

11월 16일 귀국 예정.
반응형

'Ma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ter School on Algebraic Systems Theory  (0) 2008.12.08
예상대로...  (4) 2008.11.22
정조실록  (9) 2008.10.29
세조실록  (12) 2008.10.28
대한수학회 가을 정기 발표회  (6) 2008.10.28
:
Posted by puzzlist
2008. 11. 5. 22:53

MATROPOLITAN GOVERNMENT Ordinary Life2008. 11. 5. 22:53

MATROPOLITAN? METROPOLITAN?

황당한 지하철 환기구 발전 계획(어느 풍차마을 이야기 - ExtraD)을 보면서, 서울시 공무원들이 과학만 못 하는 줄 알았더니....


반응형

'Ordinary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인도  (4) 2008.12.06
사자성어  (3) 2008.11.24
결혼  (7) 2008.11.03
피터가 말하길  (10) 2008.10.05
가문의 영광  (3) 2008.09.28
:
Posted by puzzlist
2008. 11. 3. 22:48

결혼 Ordinary Life2008. 11. 3. 22:48

우리 딸이 오늘 청혼을 받았다.

어린이집 친구가 자기랑 결혼하자고 했단다.

그래서 뭐라고 대답했냐고 물었더니, 결혼하겠다고 대답했다고.... OTL

사위될 놈 얼굴도 모르는데...

어떻게 생긴 애냐고 물었더니, 우리 딸 왈 "얼마나 멋진지 몰라요"....

우리 딸은 올해 다섯 살.
반응형

'Ordinary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자성어  (3) 2008.11.24
MATROPOLITAN GOVERNMENT  (7) 2008.11.05
피터가 말하길  (10) 2008.10.05
가문의 영광  (3) 2008.09.28
렉서스 몬다고 비스토 무시하나효?  (1) 2008.09.08
:
Posted by puzzlist
2008. 10. 29. 19:50

정조실록 Math2008. 10. 29. 19:50

이번엔 정조 실록에 있는 오류.

정조 1권, 즉위년(1776 병신 / 청 건륭(乾隆) 41년) 5월 22일(임진) 다섯 번째 기사인 "호조의 산학 산원을 산학 계사로, 이산을 초산으로, 이산을 이성으로 고치다"이다.

○改戶曹算學算員籌學計士, 改 理山 爲 楚山 , 改 尼山 爲 尼城 , 以御名音同也。


호조의 산학 산원(算學算員)을 산학 계사(算學計士)로, 이산(理山) 은 초산(楚山) 으로, 이산(尼山) 은 이성(尼城) 으로 고쳤으니, 발음이 어명(御名)과 같았기 때문이었다.



정조의 이름은 드라마 덕분에 잘 알려져 있다시피 이산(李祘). 피휘를 하다 보니 "산"이 들어가는 이름이 여럿 바뀌었는데, 호조의 산학산원(算學算員)도 명칭이 바뀌었다는 내용이다. 재미있게도 祘은 셈한다는 뜻이니 사실 祘=算인 셈이다. 피휘 방법을 보면 참 기발한 변형이 많은데, 지금이 정조 시대라면 "이산(離散) 수학"은 어떻게 바꾸어야 할지 궁금하다.

위의 기사에 대한 국역을 보면 "산학"의 算은 그대로 두고 "산원"의 算만 計로 바뀌었다. 좀 이상하다 싶어 원문을 보니, "산학"은 "주학(籌學)"으로 바뀌었다. 글자가 복잡하고 算이 반복되어 나오는 바람에 잠깐 헷갈린 듯.

한 가지 재미있는 점은 "算員"은 "計士"로 바꾸면서, "算學"은 "計學"이 아닌 "籌學"으로 바꾸었다는 점이다. 당시 대부분의 계산을 산가지(籌)로 했기에 이런 명칭이 붙지 않았나 싶다.

원본이미지에는 산원(算員)이 算貟으로 되어 있는데, 지난 번 세조 실록의 正貟에서와 같은 글자이다. 중국인들 말로는 貟=負라더니, 貟가 負와 員 양쪽으로 쓰인다는 건지, 아니면 세월이 흐르면서 바뀐 것인지 모르겠다.


반응형

'Ma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상대로...  (4) 2008.11.22
일본 센다이  (2) 2008.11.12
세조실록  (12) 2008.10.28
대한수학회 가을 정기 발표회  (6) 2008.10.28
피타고라스 정리의 비밀  (4) 2008.10.01
:
Posted by puzzlist
2008. 10. 28. 14:49

세조실록 Math2008. 10. 28. 14:49

예전에 초록불 님 블로그에서, 조선왕조 실록이 온라인에 공개되어 있으며, 누구나 오류를 지적하고 고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는 글을 보았다. 그러다 우연히 실록에서 수학 관련 기사를 찾아볼 일이 있었다. 

문제의 기사는 세조 20권, 6년(1460 경진 / 명 천순(天順) 4년) 6월 16일(신유) 첫 번째 기사로, "이조에서 역산 생도를 권려하고 징계하는 일의 개선책에 대해 따르다"라는 내용이다. 읽다보니 너댓 군데 어색한 번역과 주(註)가 보여, 정정 요청을 했다. 잊어버리고 있다가 최근에 수정 사항이 반영된 것을 확인하였는데, 평방근과 입방근만 제곱근과 세제곱근으로 고쳤고 나머지는 그대로다. 다른 부분은 그렇다 쳐도 다음 부분은 아무리 봐도 이상하다.
아래 원본 이미지에서 빨간 테두리를 두른 부분이다.

그림을 누르면 한자 울렁증이 더 심해질 수 있음.


원본 이미지에는 正貟으로 되어 있는데, 원문에는 貟을 원래 글자인 員으로 입력하면서 圓의 오자로 처리해 놓았다. 그렇지만 당시 산학의 여러 가지 기법을 나열하고 있는 구절에서 난데없이 둥근 원형(正圓)이 나올 일은 없지 않은가? 

실은 이것은 正圓도 正員도 아닌 正負로 고쳐야 한다. 정(正)은 양수, 부(負)는 음수를 뜻하는 것으로, 지금도 중국과 일본에서는 양수를 正數, 음수를 負數라 한다. 고대 중국 수학은 동시대 다른 문명과 비교하기 어려울 정도로 발전해 있었는데, 특히 양수와 음수를 자유자재로 다루어 방정식을 풀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양수와 음수를 계산하는 기법을 정부술(正負術)이라 하였다. 그러니 正貟은 정부(正負) 또는 정부술(正負術)로 옮기는 게 마땅할 것이다. (그런데 왜 안 고쳐 주냐고!)

@ 좀전에 고등과학원에 있는 중국인들에게 물어 보았는데, 그 사람들 말로는 貟이 負의 古字라고 한다. 正貟를 가리키며 "I think that this was a typo."라고 하니, 보자마자 "positive and negative"라고 하면서, "That is not a typo. That character is an old form."이라고 한다. 貟은 員의 속자라고 알고 있었는데 뜻밖의 사실이었다.
반응형

'Ma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센다이  (2) 2008.11.12
정조실록  (9) 2008.10.29
대한수학회 가을 정기 발표회  (6) 2008.10.28
피타고라스 정리의 비밀  (4) 2008.10.01
소수 포스터  (17) 2008.09.29
:
Posted by puzzlist
2008. 10. 28. 14:15

대한수학회 가을 정기 발표회 Math2008. 10. 28. 14:15

10월 22일(목)부터 10월 25일(토)까지 제주 국제컨벤션센터(ICC).


반응형

'Ma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조실록  (9) 2008.10.29
세조실록  (12) 2008.10.28
피타고라스 정리의 비밀  (4) 2008.10.01
소수 포스터  (17) 2008.09.29
Mersenne 소수 발견  (2) 2008.09.29
:
Posted by puzzlist
2008. 10. 21. 12:30

신동아 편집장 Other interests2008. 10. 21. 12:30

생각해 보니 박성원 기자도 한심하지만, 신동아 편집부야말로 막장 중의 막장이 아닐까 싶다. 작년 2007년 8월호에 황당하기 짝이 없는 제로존 이론을 특종이라며 실어서 여러 과학자들을 피곤하게 만든 멍청이들이 학계의 지적에 대해 해명이랍시고 2007년 10월호에 썼던 글을 보면, 이런 생각이 확신으로 바뀐다.

에라이, 니들이 무슨 기자냐?

2007년 8월호와 10월호 당시의 편집장 이형삼


2008년 11월호 당시의 신동아 편집장 송문홍


반응형

'Other interes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캉의 수학  (22) 2009.01.25
현대 수학은 아직 멀었다.  (6) 2008.12.23
정신나간 신동아  (7) 2008.10.19
노벨상 수상자를 15명이나 배출한 한중일  (5) 2008.10.09
노벨 물리학상  (11) 2008.10.07
:
Posted by puzzlist
2008. 10. 19. 21:00

정신나간 신동아 Other interests2008. 10. 19. 21:00

박성원 신동아 기자의 병맛 특종 2탄. 

자기가 뭘 잘못했는지 깨닫지 못할 거라고는 생각했지만, 이 정도로 사고력이 한심한 인간일 줄은 몰랐다. 이런 걸 특종이랍시고 실어주는 신동아 편집진도 알 만하다.

동아일보는 이제 과학 분야까지 아주 막장으로 치닫는 듯.

2008년 11월호 목차


어쩌면 제로존은 양동봉, 박성원 같은 crackpot의 정신세계를 우아하게 설명하는 이론일지도.

@ 이 블로그에 줄기차게 제로존 이론으로 도배질하고 있는 기독교인 보시오. 기독교 믿는다는 인간들이 뻔뻔하고 무례하고 몰염치하다는 걸 충분히 잘 알았으니까, 이제는 다른 사람들에게  뻔뻔함과 무례와 몰염치함을 보여주시오.
반응형

'Other interes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 수학은 아직 멀었다.  (6) 2008.12.23
신동아 편집장  (5) 2008.10.21
노벨상 수상자를 15명이나 배출한 한중일  (5) 2008.10.09
노벨 물리학상  (11) 2008.10.07
제 1회 세계 마인드 스포츠 게임  (9) 2008.10.07
:
Posted by puzzlist
2008. 10. 14. 00:56

Think outside the box! Puzzle2008. 10. 14. 00:56

우연의 일치인지 바람의 화원과 무한 도전에서 아홉 개의 점을 네 개의 직선으로 연결하는 문제를 다루었다. 두 프로그램 모두 이 문제를
고정 관념을 벗어나 창의적인 사고를 해야 답을 구할 수 있는 문제
로 인식했던 게 아닌가 싶다. 생각해 보면 이런 관점에서는 꽤 적절한 문제라 할 수 있다. 이 문제를 처음 풀어보는 사람들은 대부분 사각형을 벗어나지 못하고 점과 점만 연결하느라 시간을 허비한다. 그러다가 사각형 밖으로 나갈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 순간 문제는 멋지게 해결된다.

바람의 화원

무한 도전


인간의 사고 방식이라는 게 비슷해서인지, 서양에서도 이 문제는 고정 관념을 벗어냐야만 풀 수 있는 문제의 대표격으로 다루어진다. 여기에서 유래해서, 고정 관념을 벗어난 창의적 사고를 outside the box thinking이라고 부른다. 출판사 Random House의 웹사이트에서는 The Mavens' Word of the Day에서 이 어구를 소개하고 있다.

바람의 화원에서 신윤복은 직선을 길게 그으면 세 개만으로도 아홉 개의 점을 지나게 할 수 있다고 하였다. (무한 어쩌고 하며 이어지는 엉성한 설명은 작가가 무지한 탓) 아마도 작가는 김홍도보다도 신윤복의 창의성이 더 뛰어나다는 말을 하고 싶었던 것 같은데, 과연 그럴까?

너무 나간 작가님


지난 글에서도 썼지만, 이 문제는 모범 답안 외에도 온갖 풀이가 수도 없이 많이 나와 있다. 모범 답안이 아닌 색다른 답을 내는 것이 더 창의적이라고 할 수 있을까?

내 생각에는 별로 그럴 것 같지 않다. 신윤복의 예를 생각해 보자. 정말로 신윤복이 자유분방한 상상력의 소유자여서 스승을 뛰어넘는 창의성을 지녔다면, 왜 처음부터 직선 세 개를 긋는 답을 내지 않았을까? 그가 김홍도의 풀이에 대해 색다른 답을 제시할 수 있었던 것은 김홍도의 풀이를 통해 "상자 밖에서 생각하는 법"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문제를 풀지 못하다가, 스승의 풀이를 보고서, "오, 그렇군. 그럼 이런 것도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였다고 생각하는 게 훨씬 자연스럽다. 그러니까 "오, 그렇군"에서 일종의 격발이 일어나 "그럼 이런 것도"라는 생각에 이르렀다는 말이다. 상자 밖으로 나가는 것이 어렵지, 일단 빠져나간 상자 바깥에서 더 멀리 나가는 것은 전혀 어려운 일이 아니다.

한편, 처음부터 직선 세 개로 문제를 해결한 사람이라면, 당연히 더 깔끔한 풀이를 찾아낼 수 있다. 문제의 의도가 뻔한데, 점을 크기가 있다고 생각하고 길게 직선을 긋는 것은 그 풀이를 생각한 사람에게도 다소 억지스러운 풀이로 느껴질 수밖에 없다. 세 개로 되는데도 네 개로 해결하라고 하면 의도에 충실한 풀이를 찾으려는 게 자연스럽고, 한번 바깥으로 나가는 사고를 한 사람이라면 모범 답안을 찾는 것이 그리 어렵지 않다. 무한 도전의 정형돈이 바로 그 예가 될 것이다.

무한 도전에서 정형돈은 처음에 직선 세 개로 해결하는 것과 비슷한 풀이를 내었다가 나중에 정답을 맞히는데, 내가 보기에는 정형돈이 예전에 이 문제의 답을 본 적이 있는 것 같다. 바깥으로 나가는 풀이에 감탄은 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정확한 풀이는 잊어버리고 "바깥으로 나간다"는 아이디어만이 기억에 남아 있었던 것이다. 전체적인 내용은 잊어버리고 강렬하게 느꼈던 부분만 기억에 남는 것은 누구에게나 흔한 경험이다. 정형돈은 처음에 바깥으로 나간다는 것만 생각하고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다가 엉뚱한 답을 내었지만, 곧 정답에 도달한다. 무한 도전을 보지 않아서 알 수 없지만, 정형돈의 첫 번째 풀이를 보고 다른 사람들도 정답에 가까이 가지 않았을까 싶다. 

혹시 정답을 알면서 쇼?


직선 세 개를 길게 긋는다거나, 종이를 접는다거나, 입체도형을 이용한다거나 하는 풀이 모두 나름대로 재치있고 재미있는 생각이다. 남들이 하지 못한 독특한 생각을 창의적이라고 정의한다면 이 풀이들은 대단히 창의적이다. 그러나 이런 정의는 지극히 피상적이며, 사고의 과정이 아니라 결과에만 주목하는 반쪽짜리일 뿐이다. 

창의적인 생각은 단순히 "남들이 하지 못하는 생각"이 아니다. 그런 식이라면 이 세상에는 60억 개의 창의적인 생각이 파편적으로 존재할 뿐이다. 모범 답안이 
"상자에 갇혀 있다 --> 상자 밖으로 나간다"
인 반면 다른 풀이들은 
"상자 밖에 있다 --> 더 멀리 간다"
에 해당한다고 생각하면 어느 쪽이 더 창의적인지 분명하다. 퍼즐뿐 아니라 학문의 세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단순해 보이더라도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아이디어가 진정으로 창의적인 것이다.

반응형

'Puzz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iply True Alphametics  (16) 2008.12.03
세상에서 가장 긴 복면산  (4) 2008.11.26
점 아홉, 직선 넷  (6) 2008.10.13
인도의 베나레스가 베트남의 하노이라고?  (1) 2008.10.12
9개의 점과 종이접기  (1) 2008.09.29
:
Posted by puzzlist
2008. 10. 13. 18:10

뻔뻔한 기독교인 Blog & Blogger2008. 10. 13. 18:10

"뉴턴 2세(기독교인)"이라는 筆名을 쓰고 있는 訪問客에게 告함. 

大凡 블로그라 함은 한 個人이 제 日常과 思惟와 情報를 他人과 나누기 爲함일진저, 所有人이 不願하는 主題와 關聯된 長文의 글월을 一方的으로 多量 轉載함은 무슨 所致인가? 所謂 零域理論의 虛荒之說됨이 滿天下에 明白히 旣證明되어 있음에도 諾貝爾賞 零順位와 같은 妖言에 眩惑된 一部 盲目的 被釣人이 이와 같이 他人의 블로그에 沒廉恥한 塗褙로 害惡을 끼치니 어찌 遺憾됨이 없으리요? 
此然由로 因하여 貴下의 글월을 削除하는 바이며, 此後로 類似한 作態가 持續될 時, 不得不 接近遮斷을 아니 할 수 없음을 通告하니 留念하오.
반응형

'Blog & Blogg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래의 날개 위에  (4) 2009.11.13
블로그 접습니다.  (26) 2009.04.01
Tistory의 조작?  (4) 2008.03.04
무슨 일이지?  (2) 2008.03.03
방문객 10만 돌파!  (8) 2007.12.11
:
Posted by puzzlist